회사에서 VMWare workstation Pro 15의 굴레에 갇혀있었는데 희소식이 있습니다.
VMWare를 인수한 Broadcom은 2024년 12월 11일 전면무료화를 선언했다는 점이죠.
AMD CPU 사용중인 window 11 Pro 사용자들에게 제약점이 많았죠. core수를 1개 넘게 가상머신을 생성하면 가상머신에서 access violation ( 0xc0000005 Exception)을 내뱉거나, 구동후에도 vmware tools 를 설치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호환이 안되서 너무 느린 등의 문제 말이죠.
그러나 이제는 고통은 안지 않아도 됩니다. Broadcom에서 상업 무료화를 선언했기 때문이죠.
변경사항이 사용자들에게 미치는 영향
Vmware fusion pro와 workstation pro는 이제 유료 또는 구독이 아닙니다.
무료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앞으로는 유료버전을 더 이상 구매할 수 없습니다. 이미 구매했던 사용자에 대한 cs지원은 계속될 전망이다.
이전의 개인 무료버전인 player는 스냅샷 캡처 등은 동작하지 않았는데, Pro가 무료화 되다보니 기존 유료 Pro버전에서 사용하던 모든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고 합니다.계약이 활성화 된 고객은 계속 적으로 지원포탈이나 지원팀에 연락하여 도움을 받을 수 있으나, 문제해결을 위한 support ticket 생성은 더이상 제공하지 않는다고 하네요.
그러나 무료화와 같이 지원 문서, 사용자 가이드, 커뮤니티 포럼으로 다양한 리소스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공지사항입니다.
예상컨데 도커 등의 등장으로 사용자가 감소하고 있는 추세에 사용자들을 늘리고 협업, 커뮤니티, 피드백 등을 통한 성장을 바라보고 있을 것 같아서 긍정적으로 판단해도 단기적으로는 나쁘진 않을 정책인 것 같아요. 구버전의 VMWare Workstation Pro를 사용하기 위해 OS를 다운그레이드하는 슬픈일은 없어지겠네요.
다운로드 하는 방법은 broadcom vmware 홈페이지에 가입 후 로그인하여 시도하면 된답니다!
처음 개발을 공부할때 자바스프링을 인텔리제이를 구매해서 사용하겠다고 맥북을 사고는 homebrew를 애용했어요. 자바 스프링을 사용하던 회사에 문제가 많아 3개월 후 퇴사하고나서 c# .net을 사용하는 회사로 이직했는데요.
window를 사용하는 곳에 입사하다보니 window 노트북도 다시 세팅을 했고 맥북의 homebrew 같은 친구가 window에 있을까? 고민 하던 중 chocolatey를 알게 됐었죠. 한참을 당연하게 생각하고 있다가 최근에 RabbitMQ를 설치할 일이 있어서 설치 문서를 보다가 chocolatey가 있어서 겸사겸사 포스트합니다.
먼저 선행조건 - window, powershell v2+ (윈도우 10, 11 사용자는 그냥 된다고 보셔도 무방합니다.)
.net 4.8 설치
영어를 할 줄 아신다면, 공식 홈페이지 쭈욱 따라 가시면 됩니다.
영어가 익숙치 않은 분들을 위한 포스팅에 가깝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그러나 업계 특성상 시간이 조금만 흘러도 내용이 변경 되기 때문에 공식 홈페이지와 이 포스트간에 차이가 있다면 무조건 공식 홈페이지를 따르시는 것이 좋습니다. 영어를 설사 거의 하시 못하더라도 명령어 - copy 부분은 개발자니까 알아보실 거라고 믿어요!
설치가 완료되면 powershell을 실행합니다.
powershell의 Get-ExecutionPolicy의 기본값이 Bypass가 아닌 경우가 많은데,
Get-ExecutionPolicy를 cmd에서 입력 후에 Restricted가 나오면
Set-ExecutionPolicy AllSigned 또는 Set-ExecutionPolicy Bypass -Scope Process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계속 말씀드리지만 2024년 8월 20일 기준으로 번역에 가깝기 때문에 이러한 명령어의 복사 자체는 포스트의 것이 아닌, 공식 홈페이지를 방문하여 기술된 문구를 복사하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시간이 경과하여 문구가 바뀐 것은 포스트에서 팔로우 할 수 없음을 계속해서 말씀 드립니다.
설치가 완료된 것이예요! 명령어를 알고 있는 패키지는 cmd를 치셔도 되고
공식 홈페이지에서 검색을 하셔도 좋습니다. Looking for Packages를 클릭 후 검색하시면 되는데요,
제일 처음에 연결할떄는 스냅샷을 이용하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sql문도 사용하시면 되겠습니다.
ALTER DATABASE {database name} SET ALLOW_SNAPSHOT_ISOLATION ON;
새로운 계정에 role과 권한을 추가하여 사용하는 방법도 명시되어있으나
테스트 DB에 연결시도를 하기 위한 포스트이기때문에 sa계정을 사용했습니다.
db의 TCP 연결 포트를 방화벽을 통해 인바운드 규칙을 생성합니다.
이대로는 에러가 났어서 UDP 연결 포트로 1434를 열어주어야 한다고 하여 열어주었습니다.
---------------------------------------
이제 다시 airbyte 구동화면입니다.
아래와 같은 화면에서 Host, Port, Database, db계정 정보를 입력합니다.
Update Method는 Read Change using Change DData Capture(CDC)를 선택하고 Set up source를 누릅니다.
에러가 났습니다. 에러 파일을 열어보니 에러부분에 다음과 같은 에러가 났습니다.
Checking that the SQL Server Agent is running using the query: 'SELECT status_desc FROM sys.dm_server_services WHERE [servicename] LIKE 'SQL Server Agent%' OR [servicename] LIKE 'SQL Server 代理%' '
Set initial fetch size: 10 rows
74 Exception while checking connection: java.lang.ArrayIndexOutOfBoundsException: Index 0 out of bounds for length 0
에러를 추적해야했죠.
sql server new query를 열어
'SELECT status_desc FROM sys.dm_server_services WHERE [servicename] LIKE 'SQL Server Agent%' OR [servicename] LIKE 'SQL Server 代理%' '
쿼리를 똑같이 쳐봤습니다. 아무것도 안나옵니다.
WHERE 조건을 없애고 쳐봤습니다.
'SELECT status_desc FROM sys.dm_server_services
===>> SQL Server 에이전트 (인스턴스명)
이러한 형태의 값이 존재했습니다.
gpt에 이 값을 변경할 수 있는지 물어봤는데 변경할 수 없다고 하더라구요.
sql server 설치파일에서 저 이름을 본적이 있어서 설치과정을 진행해봤는데, 거기서는 명칭을 변경하여 db를 설치할 수 없었습니다.
Sql Server Configuration Manager에서도 해당 이름을 바꿀 수 없었죠.
한글이 가용한 윈도우에서 sql server를 설치하면 저와 같은 증상을 겪으실 것 같네요. 문제를 겪으신 독자분들은 다행히 해결책을 찾았으니 계속 읽으시면 되겠습니다.
그런데 Window의 시스템을 읽어오는 거라면 Registry에 있을꺼라는 확신이 들어 찾아보았습니다.
(저의 경우 ) ==> cd C:\Program Files (x86)\VMware\VMware Player\OVFTool
그러면 해당 폴더로 이동이 되는데요,
여기서 ovftool "가상머신의 경로 (.wmx 파일의 경로)" "ovf파일을 만들경로\filename.ovf"를 입력해 줍니다.
만일 어떤 에러가 난다면
ovftool --X:logFile=ovftool-log.txt --X:logLevel=verbose "가상머신의 경로 (.wmx 파일의 경로)" "ovf파일을 만들경로\filename.ovf" 를 입력해주면 어떤 원인이 있는지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저같은 경우는 아래와 같이
Opening VMX source : (가상머신).vmx
Error: Failed to open disk : (가상머신).vmdk
Completed with errors
라는 에러가 계속 났어요. 그래서 디버깅 방법을 찾아봤던 것이지요.
이미지 손상에 대한 말로 repair 프로그램이 있다는데, vmware workstation player 버전에서는 존재하지 않고, vmware workstation pro에만 있는 프로그램이었죠.
그래서 repair 프로그램을 구글링 하다가,
어제 가상머신을 종료하지 않고 피시를 종료했던 것이 기억나서, 가상머신을 다시 킨 후 정상적으로 종료를 했더니 문제가 해결되었습니다.
이 문제가 실제로 repair 프로그램으로 해결이 될 수 있는 부분이긴 했으나, 불필요한 과정을 겪지 말고 가상머신을 켜서 다시한번 정상종료를 해보시면 어떨까요. player 사용자분들은 export to cvf도 할 수 없고, vmware-vdiskmanager -R "<path of the vmdk(virtual disk>" 명령줄을 칠 대상인 vmware-vdiskmanager.exe 프로그램이 없기 때문에, 저와 같은 증상이 있는 경우 꼭 한번 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변환 성공! 이제 Pro license가 있는 Vmware Workstation을 사용하러 가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