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지날달에 회사에서 첫 프로젝트를 마쳤다.
리눅스 공부가 많이 되었는데 바쁘다보니 블로그에 정리를 하나도 못했다...
운영서버 개발서버의 운영체제가 리눅스 redhat 계열에 centos였고
첫 프로젝트에서는 로그를 보거나 서버에 소스를 올릴때(오픈이후에는 당사의 절차가 따로 존재했음)
많이 사용했고 shell script가 사용되는 것을 보고 배워야겠다고 느꼈다.
디렉토리는 {directory}로 표현했다.
cd {directory} : (상대경로) 디렉토리로 이동
cd /{directory} : (절대경로) 디렉토리로 이동
cd ../ : 상위 디렉토리로 이동
ls : 현재 디렉토리의 파일들을 파일명만 나타냄(가로로)
ls -1 : 현재 디렉토리의 파일들을 파일명만 나타냄(세로로)
ls -al : 현재 디렉토리의 파일들을 숨긴 파일을 포함하여 자세히 나타냄
ll : 현재 디렉토리의 파일들을 자세히 나타냄
ls - alh : ls -al에서 용량이 크면 단위가 k, m, g 등으로 표현됨(키로바이트, 메가바이트....)
ls -alt : ls -al에서 시간순 정렬
ls -alr : ls -al 에서 시간 역순으로 정렬
df : 디스크 공간 통계 출력
df -h : df 에서 용량 크면 k,m,g로 표현
df -T : df에서 디스크 타입을 표기
df -i : df에서 i노드 사용량 표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