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 분야의 권위자인 안드레이 카르파시가 올초에 언급하면서 유명해진 단어 바이브코딩. 사실 유행탄지도 꽤됐고 저도 벌써 3달째 gpt와 claude를 병행 결제하고 있는데요. 그 중 gpt5가 나오기 전까지 개발자들에게 각광 받았던 클로드, 그중에서도 프로젝트 내 코드를 직접 수정하는 것을 집중적으로 잘해주는 클로드 코드 사용방법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영어를 알아 볼 수만 있어도 공식홈페이지 직접 가는 것도 나은 방법일 수 있어요.
우선 클로드 코드는 Pro이상의 결제가 필요합니다. pro가 포스트를 작성하는 기준으로 월 17달러랍니다.
일단 공홈의 클로드 코드 페이지 부터 링크 남겨드립니다.
https://www.anthropic.com/claude-code
Claude Code: Deep coding at terminal velocity \ Anthropic
Transform hours of debugging into seconds with a single command. Experience coding at thought-speed with Claude's AI that understands your entire codebase—no more context switching, just breakthrough results.
www.anthropic.com
물론 영어가 어렵다거나 간소화된 버전으로 보시고 싶으시다면 남아계시죠. 바로 들어가겠습니다. 클로드 코드는 node.js 18버전 이상에서 지원합니다. 우리 개발자분들이라면 필수적으로 설치하고 계시리라 믿습니다만, 처음오시는 분들을 위해 스크린샷 아래에 node.js의 다운로드 페이지도 남겨두었습니다. 운영체제에 맞게 다운로드 후 설치하시면 됩니다.
https://nodejs.org/en/download
Node.js — Download Node.js®
Node.js® is a free, open-source, cross-platform JavaScript runtime environment that lets developers create servers, web apps, command line tools and scripts.
nodejs.org
node.js 설치를 완료하셨다면 Windows에서는 실행(win + R) -> Cmd, mac OS에서는 터미널에서 아래명령어를 실행해줍니다.
npm install -g @anthropic-ai/claude-code
설치를 마치셨다면, 프로젝트를 진행할 폴더를 생성하고 "cd 폴더경로"로 진입 후 "claude"라고 치면 클로드 코드가 실행됩니다. 프로젝트를 진행할 폴더는 ide로 프로젝트 구조가 생성된 폴더여도 되고, 클로드에게 프로젝트에 쓸 언어와 프레임워크를 설명하고 생성해달라고 하더라도 잘해줍니다.
제가 예제로 간단하게 클로드 코드를 실행하며 vs code를 열겠습니다. fast api를 요즘 공부중이기 때문에 이름을 fastapi로 짓겠습니다.
mkdir fastapi_by_claude
#엔터
cd fastapi_by_claude
#엔터
claude
환영한다는 문구가 나오며, 해당 디렉토리를 접근해도 되냐고 물어볼 겁니다. yes, proceed를 선택 후 클로드 코드와 프롬프트로 개발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쌩판 터미널에서 개발하는 방법도 있지만 ide에서 할 수도 있습니다. vscode에서는 클로드 확장도 지원합니다.
vs code를 실행해줍니다. (mac에서는 소스 폴더 또는 그냥 폴더를 우클릭하고 터미널을 연 뒤), (windows에서는 탐색기 주소창에 cmd를 치고 터미널을 연뒤) code .을 쳐 줍니다. vs code를 그냥 실행하고 열기로 여셔도 무방합니다. 확장 마켓플레이스에서 claude code를 검색해보면 claude code for vs code라는 확장이 있습니다. 설치해줍니다.
그러면 우측상단에 클로드 아이콘이 생기는데요, 그것을 누르면 알아서 터미널에 claude를 친 상태로 실행하게 됩니다. vs code의 상단 터미널에서 claude를 쳐줘도 같긴 합니다만, 버튼 한번에 이루어져 더 편리하게 느껴집니다.
저는 간단한 예제를 보여드리기 위해 빈폴더에서 claude를 실행 후 fast api로 만들어 달라하였습니다.
파이썬 환경과 가상환경이 제멋대로라 정리를 부탁했습니다.
소스를 세세히 뜯어보면 아직 고장난 곳이 있지만, 프롬프트에 나타난 요청사항이 너무 광범위 하고 포괄적이기 때문에 이정도면 아주 빠르게 잘 개발 해준 것이라는 느낌이 들어요.
마지막으로 클로드 코드 토큰 사용량 측정방법입니다. 토큰 측정을 위한 모듈 두개를 설치해야합니다. 검정색 두줄을 순서대로 설치하시면 됩니다. 명령어가 아닌부분은 주석처리했습니다.
sudo npm install -g ccusage
# Password:
# added 1 package in 512ms
# 1 package is looking for funding
# run `npm fund` for details
pip install claude-monitor
설치를 마치셨다면 설치한 토큰 사용량을 측정하는 cli를 실행해줍니다. 명령어와 결과를 보여드립니다.
claude-monitor
p.s 참고적으로 claude의 상태를 체크하는 명령어는 claude doctor입니다. flutter doctor가 떠올라서 급 남기고 포스트 종료합니다.